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더 웨일
- 탐조
- 생명과학 균학 미생물학 Biology Mycology Microbiology
- 코딩
- 영화 일기
- mushroom #mushrooms #mushroomhunting #mushroomphotos #mushroomphotography #mycology #mycologist #fungi #fungalecology #fungaldiversity #fantasticfungi #버섯 #탐균 #버섯탐사
- 영화
- 갓생
- 대학원생
- 청도요
- RStudio
- Cannon PowerShot G7 X Mark III
- 계묘년
- 곤줄박이
- 에리히 프롬
- 둠칫새
- 외생균근균
- 바운새
- 파이썬
- 젖비단그물버섯
- 영화 리뷰
- 심리학
- 철학
- 토양미생물학
- R
- 영화 후기
- 토양학
- 생물정보학
- Rstuido
- 영화 해석
- Today
- Total
목록한권의 책이 남기는 충격 (한남충) (3)
워라밸 중독자

장자를 왜 읽는가 내가 갑자기 흑인이나 백인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고 마이클 잭슨처럼 춤을 추는 것도 아마 어려울 것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힘들긴 하겠지만 애초에 별로 그렇게 되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그저 내가 되고 싶은 최선의 내가 되고자 한다.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를 깨닫고 그 안에서 '최선의 나'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숙명 아닐까? 에리히 프롬의 책들을 감명깊게 읽고 다른 철학 책들을 찾고 있을 무렵 '莊子(장자)'를 발견했다. 첫 장을 펼치자 내가 좋아하는 작가 헤르만 헤세도 를 "내가 아는 모은 중국 사상 서적 중에서 가장 명료하고 매력 있는 책" 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나도 장자를 읽어보기로 했다. 도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 장자의 저자 장주(편의상 둘 다..

존 피치 & 맥스 프렌젤, 윤작은 토양의 황폐화를 막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작물들을 매년 번갈아 재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년 같은 작물을 재배할 경우 토양이 황폐해질 뿐만 아니라 병충해 위험도 증가한다. 하지만 한 작물과 콩과 식물을 번갈아 재배할 경우 콩과 식물과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가 황폐해진 토양에 질소를 보충해주어 토양이 빠르게 회복된다. 또한 매년 종이 바뀌기 때문에 종 특이적인 병충해의 위험도 감소한다. 이처럼 윤작할 작물을 잘 고른다면 한 작물만 주구장창 키우는 것보다 훨씬 생산성이 높아질 것이다. 우리 인생도 윤작이 필요하다. 우리는 성공하기위해 주구장창 일만하고, 바쁘다는 핑계로 너무나 쉽게 휴식을 포기한다. 그러나 이는 매년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생을 황폐하게 ..

에리히 프롬, 최대 쾌락 = 최대 행복? 18세기 이후 산업주의 체계는 현대 사회를 대표하게 되었다. 이 체계는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 구성원인 인간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한 가지 사상을 주입한다: "많이 가질수록 행복하다". 즉 무제한적인 모든 욕망의 충족이 최대 행복으로 이어진다는 사상이다. 그리고 이는 필연적으로 이기심으로 귀결된다. 하지만 과연 최대 쾌락과 이기심이 인간의 행복으로 이어질까? 극단적 쾌락주의는 ... 단 하나의 예외적 인물을 제외하고는 - 중국 및 인도, 근동, 유럽의 인생철학 대가들이 전개해온 "행복한 삶"의 이론에서는 그 뿌리를 찾을 수 없다. 에리히 프롬, , p. 16 과학적으로도 최대 쾌락은 절대 최대 행복이 될 수 없다. 자극적인 쾌락에 의한 즉각적인 보상은 단기간에..